맨위로가기

윤소정 (배우)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윤소정은 1961년 연극 배우로 데뷔하여, 1962년 성우, 1964년 영화 배우로 활동한 대한민국의 배우이다. 영화 《니가 잘나 일색이냐》로 영화 배우 활동을 시작했으며, 1973년 연극 《초분》을 시작으로 배우 이호재와 여러 작품에서 부부나 애인 역할로 호흡을 맞췄다. 2017년 패혈증으로 사망했으며, 유작은 드라마 《엽기적인 그녀》이다. 1964년 백상예술대상 연극부문 여자 신인연기상, 2001년 대종상 영화제 여우조연상 등을 수상했다. 배우 오현경의 배우자이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백상예술대상 연극부문 여자 최우수연기상 수상자 - 황정순
    황정순은 1940년 연극배우로 데뷔하여 1941년 영화계에 데뷔한 대한민국의 배우로, 다양한 영화, 드라마, 광고에서 활발하게 활동하며 한국 영화사에 족적을 남겼고, 청룡영화상, 부일영화상, 대종상영화제 등에서 수상하며 연기력과 공헌을 인정받았다.
  • 백상예술대상 연극부문 여자 최우수연기상 수상자 - 윤석화
    윤석화는 1975년 연극으로 데뷔하여 연극, 뮤지컬, 영화, 드라마 등 다양한 분야에서 활동한 대한민국의 배우이자 연출가, 제작자, 작가로, 뮤지컬 <명성황후>에서 명성황후 역으로 큰 인기를 얻었으며 다수의 영화 제작에도 참여했고, 백상예술대상 등 다수의 상을 수상했으며 2023년 뇌종양 수술 후 투병 중이다.
  • 대종상 - 김여진
    김여진은 1998년 영화 데뷔 후 청룡영화상 신인여우상을 수상하고 다양한 영화와 드라마에 출연했으며, 2000년대 후반부터는 사회 운동에 적극적으로 참여한 배우이다.
  • 대종상 - 이윤택
    이윤택은 대한민국의 연극 연출가이자 극작가, 시인으로 연희단거리패를 창단하여 한국 연극계에 큰 영향을 미쳤으나, 미투 운동으로 성폭력 가해 사실이 드러나 연극계에서 퇴출되었으며, 문재인 전 대통령을 지지하여 문화예술계 블랙리스트에 오르기도 했다.
  • 죽은 사람 - 박원순
    박원순은 대한민국의 법조인, 사회운동가, 정치인으로, 인권변호사, 시민운동가, 사회적 기업 운동가로 활동하다가 무소속으로 서울특별시장에 당선되어 대한민국 최초의 3선 서울특별시장이 되었으나, 성추행 혐의로 고소당한 후 사망했다.
  • 죽은 사람 - 한경선
    1983년 KBS 공채 탤런트로 데뷔한 배우 한경선은 드라마 《모래시계》, 《자이언트》, 영화 《전국구》 등에 출연하며 활발한 연기 활동을 펼쳤으나 2015년 뇌경색으로 사망했다.
윤소정 (배우) - [인물]에 관한 문서
기본 정보
이름윤소정
출생일1944년 7월 4일
사망일2017년 6월 16일
출생지대한민국 서울특별시
사망지대한민국 서울특별시 서초구 반포동 가톨릭대학교 서울성모병원
국적대한민국
직업배우
종교개신교
활동 기간1961년 ~ 2017년
부모윤봉춘 (부)
배우자오현경 (1968년 결혼)
자녀오지혜 (딸)
오세호 (아들)
이영은 (사위)
형제자매윤삼륙 (오빠, 1937년 5월 25일 ~ 2020년 7월 2일)
소속사무소속
결혼 정보
결혼일1968년 2월 27일
결혼 상대오현경
기타 정보
관련 기사내일結婚式

2. 생애 및 배우 활동

윤소정은 영화인 집안에서 태어나 1961년 17살의 나이에 연극배우로 데뷔하였다.[2] 1962년 서울중앙방송(지금의 KBS 한국방송공사) 성우로 데뷔하였고, 1964년 영화 《니가 잘나 일색이냐》에 단역으로 출연하며 영화배우로 데뷔하였다.[2] 같은 해 TBC 동양방송 공채 1기 탤런트로 정식 데뷔하였다.[2]

이호재와는 1973년 연극 《초분》에서 처음 호흡을 맞춘 이후, 《태》(1974), 《출세기》(1974), 《매디슨카운티의 다리》(1996), 《비 오는 날의 축제》(1997), 《누군가의 어깨에 기대어》(2002), 《졸업》(2003), 《에이미》(2010), 《그대를 속일지라도》(2010), 《응시》(2011) 등 13편의 연극에서 부부나 애인 역할로 함께 출연하였다.[2] 이호재의 첫 영화 출연작인 《이혼하지 않은 여자》에도 함께 출연하였다.[2]

2017년 6월 16일, 서울성모병원에서 패혈증으로 향년 74세의 나이로 타계했다.[2] 사망 당시, 본인이 출연한 사전제작 드라마 《엽기적인 그녀》가 방송 중이어서 안타까움을 더했다.[2]

2. 1. 초기 생애

2. 2. 연극 배우 데뷔 및 활동

2. 3. 방송 및 영화 배우 활동

2. 4. 배우 이호재와의 인연

2. 5. 타계

윤소정은 2017년 6월 16일 패혈증으로 서울성모병원에서 향년 74세를 일기로 타계했다.[2] 본인이 출연한 사전제작 드라마 《엽기적인 그녀》가 방송되던 중에 전해진 소식이어서 안타까움을 주었다.[2]

3. 주요 출연작

3. 1. 연극

3. 2. 영화

윤소정은 1964년 영화 《학사주점》으로 데뷔하였다. 이후, 《니가 잘나 일색이냐》(1964), 《아름다운 눈동자》(1965), 《나운규 일생》(1966) 등에 출연하였다. 1967년에는 《내멋에 산다》, 《콩쥐팥쥐》, 《역전부자》에 출연하였다. 1968년에는 《무기와 육체》, 《일식》, 1971년에는 《당신과 나 사이에》에 출연하였다.

1983년에는 《3일낮 3일밤》, 《참새와 허수아비》에서 마담 역을 맡았다. 1992년 《이혼하지 않은 여자》, 1997년 《올가미》에서 진숙 역, 1999년 《표절》, 《이재수의 난》에서 숙화 모 역을 연기했다. 2001년 《하루》에서 진원 이모 역, 2005년 《이대로, 죽을 순 없다》에서 진료실 의사 역(우정출연), 《왕의 남자》에서 인수대왕대비 청주 한씨 역을 맡았다. 2009년 《결혼식 후에》에서 박옥순 역, 2011년 《그대를 사랑합니다》에서 송이뿐 역, 2013년 《사랑해! 진영아》에서 박철순 역으로 출연하였다.

3. 3. TV 드라마

1986년 KBS2에서 방영된 《이별 그리고 사랑》에 출연하였다. 1989년에는 MBC 드라마 《겨울 안개》에서 강민주 역을 맡았다. 1993년 SBS 드라마 《일과 사랑》에서는 서기숙 역으로 출연했다. 1999년 KBS2 드라마 《만남》에서 최 보살 역을 연기했다.

2005년에는 KBS2 드라마 《그녀가 돌아왔다》에서 오정희 역을 맡았고, 같은 해 SBS 드라마 《루루공주》에서는 장명숙 역으로 출연했다. 2007년 SBS 드라마 《사랑하고 싶다》에서 심 여사 역을 연기했다. 2008년 MBC 드라마 《그 분이 오신다》에 윤소정 역으로 출연했다.

2009년 MBC 드라마 《잘했군 잘했어》에서 배정자 역을 맡았고, 같은 해 KBS2 드라마 《다 줄거야》에서는 오말년 역을 연기했다. 2011년부터 2012년까지 방영된 SBS 드라마 《내 딸 꽃님이》에서는 문정옥 역으로 출연했다. 2011년 MBN 드라마 《갈수록 기세등등》에서는 윤소정 역을 맡았다. 2012년 SBS 드라마 《청담동 앨리스》에서 정 여사 역을 연기했다. 2013년 tvN 드라마 《연애조작단; 시라노》에서는 황 여사 역으로 출연했고, 같은 해 SBS 드라마 《결혼의 여신》에서는 이정숙 역을 맡았다.

2014년 SBS 드라마 《사랑만 할래》에서 양양순 역을 연기했고, 같은 해 MBC 드라마 《폭풍의 여자》에서는 노순만 역으로 출연했다. 2015년 KBS2 드라마 《다 잘될 거야》에서 권영순 역을 맡았다. 2016년 JTBC 드라마 《판타스틱》에서는 곽혜선 역으로 출연했다. 2017년 SBS 드라마 《엽기적인 그녀》에서 자혜대비 역을 맡았으며, 이 작품은 윤소정의 유작이 되었다.

3. 4. 라디오 프로그램


  • 2016년 《EBS 책 읽는 라디오 낭독 시리즈》 (EBS FM)

4. 수상 경력


  • 1964년 제1회 백상예술대상 연극부문 여자 신인연기상을 수상하였다.
  • 1984년 제20회 백상예술대상 연극부문 여자최우수연기상을 받았다.
  • 1995년 제31회 백상예술대상 연극부문 인기상을 수상하였다.
  • 제16회 동아연극상을 수상하였다.
  • 2001년 제38회 대종상 영화제 여우조연상을 수상하였다.
  • 2003년 서울공연예술제 개인인기상을 수상하였다.
  • 2007년 제17회 이해랑 연극상을 수상하였다.

5. 가족 관계

아버지는 윤봉춘(1902년 3월 23일 ~ 1975년 10월 21일)이다. 배우자는 오현경 (1936년 11월 11일 ~ 2024년 3월 1일)이다. 오빠는 윤삼륙(1937년 5월 25일 ~ 2020년 7월 2일)이다.

참조

[1] 뉴스 내일結婚式 https://newslibrary.[...] 조선일보 1968-02-27
[2] 뉴스 40년을 연인처럼 친구처럼…식지 않는 무대열정 서로 닮았네요 https://news.naver.c[...] 한겨레 2013-02-28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